본문 바로가기

웹컬처/생각+

〈너의 이름은.〉 - 가만히 있기를 거부함으로, 세카이계를 떠나다 ② (ⓒ2016 『君の名は。』製作委員会) 오픈 엔딩, 그리고 재생산 다음으로 신경쓰이는 부분은 한국에서 진행한 GV에서 '엔딩에 대해 pixiv를 참조하라'고 발언한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발언이다. 마침 [ 해당 메가토크를 촬영한 영상 ]이 있으니, 공식적으로 발언을 인용하고자 한다. Q. (38:06) 어, 정말 영화 정말 잘 봤습니다. 제가 그, 개봉날 국내 인사에 있었던 그 영화, 그 때 봤었는데요, 사실 그 날 봤을 때 아무 마음의 준비[가] 없어서, 딱 보고나서 대개 해피엔딩이 있지만, 뭔가 마음이 대개 씁쓸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 다시 한 번 봤을 때, 마음의 준비가 있어서, 그 해피엔딩[이] 조금 더, 조금 더 해피해지는 것 같은 느낌이 있지만, 그래도 전에 그 무대인사하셨을 때, 그 아마.. 더보기
〈너의 이름은.〉 - 가만히 있기를 거부함으로, 세카이계를 떠나다 ① (ⓒ2016 『君の名は。』製作委員会) 국내 일본 아니메 상영기록 경신. 예스24 주간 베스트셀러 1위 차지. 최근 몇년 동안 상영된 수많은 일본 애니메이션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높은 성적이다. 그리고 이 영화가 끼친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는 좀 더 시간을 두며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이 글에서는 이 영화의 내부적인 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다른 관객들과 달리, 영화를 보면서 인상에 남은 두가지 점이 있었다. 첫째로, 〈너의 이름은.〉과 가장 비슷한 엔딩이 나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둘째로 엔딩 크레딧에서 유난히도 크게 표시된 일본 문부과학성 예술문화진흥기금 마크. 이외에도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한국에서 '엔딩에 대해서는 pixiv에서 찾아보라'고 한 말 또한 자세히 살펴.. 더보기
서브컬처의 종말 (ⓒ2000, earpile, 이 사진의 허가 없는 사용을 금지함.) 한국의 서브컬처는 서브컬처가 아니다최근 서브컬처가 언론의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학계에서는 하위문화로 익히 알려져 있고, 서브컬쳐라는 철자를 사용하기도 하는 서브컬처(subculture)는 본디 햅디지(D. Hebdige)나 스튜어트(J. Stuart)를 비롯한 영국 문화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개념으로, 한 국가의 소수 민족이나, 특정 젊은이 집단들이 일반 대중문화가 제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을 거부하고 자신들만의 의상, 단어, 라이프스타일, 가치를 가지고 삶을 살아 나가는 방식을 이르는 말이었다. 그런데 대한민국에서 이 단어의 사용은 2000년대부터는 분위기가 바뀌어, 일본 문화콘텐츠에서 비롯된 만화-애니메이션계 문화나 그와 비슷한 분위.. 더보기
<울려라! 유포니엄> 극장판 대담 : TV판보다 극장판이 더 나은 애니가 여기에 있다 響け!ユーフォニアム 극장판(부제는 생략하기로 하자)은 저음 금관악기 중 하나인 유포늄을 연주하는 오마에 쿠미코黃前久美子(CV: 쿠로사와 토모요黒沢ともよ 분)이 진학한 북우지고등학교 관악부에 어쩔 수 없이 다시 들어가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담은 동작의 애니메이션을 재편집한, 소위 총집편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국내에는 9월 1일 메가박스에서 애니플러스사의 주관 아래 개봉해 5일까지 4,169명이 관람했다. 원래 이 글은 모 사이트에 기고할 용도로 영담산 님과 같이 작성했으나, 사이트가 날라간 관계로(...) 개인 블로그로 이전해 올린다. 대담에 응해주신 영담산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TVA와의 차이 1: 편집의 긴장감엘리프 : 자 이제 시작할까요? 우선 TVA와 영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 더보기
케이크스퀘어, 한국 동인 생태계의 미래를 바꾸다 문제 : 그 코믹월드The Problem : the Comic World 어떤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문화콘텐츠와 그 캐릭터를 좋아하게 되어 이들을 이용한 비공식적 미디어 믹스 차원에서 책이나 소설, 또는 기타 문화콘텐트를 저작하는 행위를 우리는 동인 활동이라고 칭하고, 그리고 그러한 활동의 결과물로 도출된 결과물 중의 일부를 동인지라고 한다. 그러나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작비용이 들어가고, 그리고 이 제작비용을 일정 부분이라도 회수하기 위해서는 판매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집중된 시간 내에 동인지를 판매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제 활동의 결과의 집대성이 바로 동인지 판매 행사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판매 행사에 있어서 국내에서 거의 반독점 상태로.. 더보기
한밀아 최대의 위기는 어떻게 일어났나? 최근 애니 덕후들을 중심으로 한국어판 확산성 밀리언 아서(이하 한밀아)의 바람이 뜨겁다. 한밀아는 2012년 12월 20일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최근 몇 주간 전체 한국 앱스토어에서 유료화 기준 매출 1위를 차지하고, 구글플레이에서도 6위를 기록하고 총 50만 다운로드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많은 사용자들이 해당 게임에 가입해 플레이를 하고 있다. 특히 10대-20대 남자를 중심으로 하는 트위터 'TL 문화' 사용자들의 상당수가 모두 가입해서 이 게임을 즐기는 현상이 목격되고, 트레이드 카드 게임에는 관심이 없던 여성층이나 4,50대 일반인들도 한밀아를 즐길 정도이며, 네이버 액토즈소프트 주주게시판에는 자신이 수백만원을 털어서 뽑기에 전부 투자했다는 소리가 들려오니 게임의 위력이 얼마나 큰지를 알 수 있다.. 더보기
현재의 하위문화는 어떻게 불려야 하는가? 1. 문제제기 한국에서는 대수롭지 않게 하위문화라고 번역되어 불리거나, 서브컬쳐라고 음역되는, 영국의 Subculture라는 단어는 영국의 특수한 계급적인 전통에 그 근원이 있다. Subculture라고 하는 단어가 영미에서 대수롭지 않게 정착하게 된 가장 큰 이유에는, 내가 생각하기에는 아무래도 영국 사회가 지금도 계급적인 사회이기 때문이다. 영국은 지방과 계층에 따라 엑센트가 다르며, 또한 옥스퍼드 영어를 정확하게 구사하는 것이 높은 계급의 인증이 되기도 할 정도로 언어와 행동, 그리고 라이프스타일의 여부 자체가 일련의 사회 생활을 결정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리고 문화연구가 시작되려고 하고 했던 당시 50~60년대의 영국 사회는 미국의 매커시즘에서도 드러나듯이 제2차 전쟁 이후로 리비스주의로 대표되.. 더보기